연선은 여러 개의 작은 전선을 묶거나 감아 더 큰 도체를 형성합니다. 연선은 동일한 단면적의 단선보다 더 유연합니다. 연선은 금속 피로에 대한 더 높은 저항성이 필요할 때 사용됩니다. 이러한 상황에는 여러 개의 인쇄 회로 기판(PCB)을 사용하는 장치에서 회로 기판 간의 연결, 단선의 강성으로 인해 조립이나 정비 중 움직임으로 인해 과도한 응력이 발생하는 경우, 가전제품의 AC 전원 코드, 악기 케이블, 컴퓨터 마우스 케이블, 용접 전극 케이블, 움직이는 기계 부품을 연결하는 제어 케이블, 광산 기계 케이블, 트레일링 기계 케이블 등이 있습니다.
고주파에서는 표피 효과 때문에 전류가 전선 표면 근처를 따라 흐르므로 전선의 전력 손실이 증가합니다. 연선은 가닥의 총 표면적이 등가 단선의 표면적보다 크기 때문에 이 효과를 줄이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일반 연선은 모든 가닥이 함께 단락되어 단일 도체처럼 동작하기 때문에 표피 효과를 줄이지 않습니다. 연선은 같은 직경의 단선보다 저항이 더 높습니다. 연선의 단면적이 모두 구리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가닥 사이에는 불가피한 틈이 있습니다(이것이 원 안에 원이 있는 경우의 원 패킹 문제입니다). 단선과 동일한 도체 단면적을 가진 연선은 동일한 등가 게이지를 가지며 항상 더 큰 직경을 갖습니다.
그러나 많은 고주파 응용 분야에서는 근접 효과가 표피 효과보다 더 심각하며, 일부 제한적인 경우에는 단순 연선을 사용하여 근접 효과를 줄일 수 있습니다. 고주파에서 더 나은 성능을 위해 개별 연선을 특수 패턴으로 절연하고 꼬아 만든 리츠선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와이어 번들에 개별 와이어 가닥이 많을수록 와이어는 더 유연하고, 꼬임에 강하고, 끊어짐에 강하며, 더 강해집니다. 그러나 가닥 수가 많을수록 제조 복잡성과 비용이 증가합니다.
기하학적인 이유로, 일반적으로 가장 낮은 가닥 수는 7개입니다. 중앙에 1개가 있고, 그 주변을 6개가 밀접하게 둘러싸고 있습니다. 그 다음 단계는 19개로, 7개 위에 12개의 가닥이 더 있는 층입니다. 그 이후의 가닥 수는 다양하지만, 37개와 49개가 일반적이며, 그 다음에는 70개에서 100개 사이입니다(더 이상 정확한 수는 아닙니다). 이보다 더 큰 가닥은 일반적으로 매우 큰 케이블에서만 발견됩니다.
와이어가 움직이는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19가 가장 낮은 값이며(7은 와이어가 배치된 후 움직이지 않는 애플리케이션에만 사용해야 함), 49가 훨씬 더 좋습니다. 조립 로봇이나 헤드폰 와이어처럼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70~100이 필수입니다.
더 큰 유연성이 필요한 용도에서는 더 많은 가닥이 사용됩니다(용접 케이블이 일반적인 예이지만, 좁은 공간에서 와이어를 이동해야 하는 모든 용도에도 적용됩니다). 한 가지 예로 #36 게이지 와이어 5,292가닥으로 만든 2/0 와이어가 있습니다. 가닥은 먼저 7가닥 묶음을 만듭니다. 그런 다음 이 묶음 중 7가닥을 모아 슈퍼 번들을 만듭니다. 마지막으로 108개의 슈퍼 번들을 사용하여 최종 케이블을 만듭니다. 각 와이어 그룹은 나선형으로 감겨 있어 와이어가 구부러질 때 늘어난 묶음 부분이 나선형을 따라 압축된 부분으로 이동하여 와이어에 가해지는 응력을 줄입니다.
150 0000 2421